카테고리 없음

임신성 당뇨병 원인, 관리 방법

생활건강 정보 2025. 6. 4. 13:44
반응형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중 처음 발견되거나 발생한 당대사 장애로, 산모와 태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건강 문제입니다. 이 글에서 임신성 당뇨병의 원인, 관리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신성 당뇨병 원인 및 관리방법 확인하기

 

임신성 당뇨병 원인, 관리 방법

 

임신성 당뇨병이란?

임신성 당뇨병은 원래 당뇨병이 없던 임산부가 임신 20주 이후에 처음으로 당뇨병이 발견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임신 중 호르몬 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출산 후에는 대부분 혈당이 정상으로 돌아오지만, 이후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임신성 당뇨병은 전체 임산부의 약 3~4%에서 발생합니다.

 

임신성 당뇨병의 원인

임신성 당뇨병의 주요 원인은 임신 중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태반락토젠, 프로게스테론, 성장호르몬 등)으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췌장에서 충분한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하면 혈당이 높아지게 됩니다. 아래는 주요 위험 요인을 표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위험 요인 내용
고령 임신 35세 이상의 산모는 임신성 당뇨병 위험이 높습니다.
비만 임신 전 체질량지수(BMI) 30kg/㎡ 이상인 경우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가족력 직계 가족 중 당뇨병 환자가 있는 경우 위험이 높습니다.
이전 임신 이력 4kg 이상의 거대아 출산, 사산, 유산 경험이 있는 경우.
다태임신 쌍둥이 이상의 다태임신은 호르몬 변화로 인해 위험이 증가합니다.

아래 체질량지수(BMI) 계산식 클릭 나의 BMI 체크하세요.

 

나의 체질량지수(BMI) 체크하기

임신성 당뇨병의 관리 방법

임신성 당뇨병 관리의 핵심은 혈당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식이 요법, 운동, 그리고 필요시 인슐린 치료가 병행됩니다. 아래는 주요 관리 방법을 정리한 표입니다.

관리 방법 내용
식이 요법 - 저탄수화물, 고섬유질 식단 유지
- 정기적인 식사 시간 준수
- 전문 영양사와 상담하여 적정 칼로리 섭취
운동 요법 - 수영, 요가, 걷기 등 저강도 운동 권장
- 하루 30분, 주 5회 이상 운동
- 의사와 상의 후 적절한 운동 선택
혈당 모니터링 - 자가 혈당 측정기 사용
- 목표 혈당: 공복 <95mg/dL, 식후 1시간 <140mg/dL, 식후 2시간 <120mg/dL
인슐린 치료 - 식이 및 운동 요법으로 혈당 조절이 안 될 경우 사용
- 경구 혈당 강하제는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음

아래 대한당뇨병학회 클릭 임신성 당뇨병 관리방법 확인하세요

 

대한당뇨병학회 임신성 당뇨병 관리방법

임신성 당뇨병 검사 방법

임신성 당뇨병은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선별검사가 필수입니다. 일반적으로 임신 24~28주에 모든 임산부에게 검사를 권장하며, 고위험군은 임신 초기에 결과가 정상이었다 하더라도 추가 검사 진행합니다. 검사방법은 2단계(two-step) 접근법과 75g 경구 당부하 검사, 두가지가 있습니다. 

검사 방법 내용
2단계
접근법

50g 경구
당부하 검사
50g 포도당 섭취 후 1시간 뒤 혈당 측정
(기준: 140mg/dL 이상 시 추가 검사)
100g 경구
당부하 검사
공복 상태에서 100g 포도당 섭취 후 1, 2, 3시간 혈당 측정
(2개 이상 비정상 시 진단)

- 공복시 혈당 : 95mg/dL
- 1시간 혈당 : 180mg/dL
- 2시간 혈당 : 155mg/dL
- 3시간 혈당 : 140mg/dL
75g 경구
당부하 검사법
75g 경구
당부하 검사
공복 상태에서 75g 포도당 섭취 후 혈당 측정
(1개 이상 비정상 시 진단)

- 공복시 혈당 : 92mg/dL
- 1시간 혈당 : 180mg/dL
- 2시간 혈당 : 153mg/dL

출처: 대한당뇨병학회

 

임신성 당뇨병이 임산부와 태아에 미칠 수 있는 영향

구분 내용
태아 기형 당화 혈색소≥7% 이거나 공복혈당 > 120mg/dL인 경우에는 태아의 선천성 기형이 나타날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태아에 대한 검사가 필요
거대 임신 중기, 후기에 발생하는 고혈당은 태아의 성장을 촉진시켜서 4kg이상 거대아의 원인
장기적인 문제 임신성 당뇨병이 있었던 산모에서 태어난 아이의 경우 소아 비만, 대사 증후군 등이 생길 확률이 정상 산모에서 태어난 아이에 비해 2배 정도 높습니다.
아이가 성장해 갈 때 비만해지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임산부에게
미치는 영향
임신성 고혈압, 조산 등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다음 번 임신에서 임신성 당뇨병의 재발 가능성은 50% 이상이며, 분만 후에 제2형 당뇨병의 발병 확률이 높기 때문에 내분비 내과 의사의 장기적인 진료가 필요합니다.
기타 신생아 저혈당, 저칼슘혈증,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등이 생길 확률이 증가합니다.

출처: 대한당뇨병학회

 

마무리

임신성 당뇨병은 적절한 관리로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질환입니다. 임신성 당뇨병 관리 방법실천하고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혈당을 철저히 관리하세요.

 

아래 대한당뇨병학회 클릭 임신성 당뇨병 관리방법 확인하세요

 

대한당뇨병학회 임신성 당뇨병 관리방법

반응형